-
-
BARA (2024)
 
BARA is a table lamp for modern families who lack offline communication.
It helps users develop a sense of community and focus on offline communication by providing a light-on experience 
when all family members put down their phones.
By repeating this process, users perceive the act of putting down their phones as a natural routine before eating.
-
BARA는 오프라인 소통이 부족한 현대 가족을 위한 테이블 램프입니다.
가족 구성원 모두가 휴대폰을 내려놓으면 조명이 켜지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저들이 공동체 감각을 키우고 오프라인 소통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경험이 반복되면  유저들은 휴대폰을 내려놓는 행위를 식사를 위한 당연한 루틴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We longed for..
 
As social animals, we have always longed to show ourselves, to communicate with people, and to connect emotionally. 
To meet those needs, SNS has emerged, and we have been able to communicate with peopl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사회적 동물인 우리는 항상 스스로를 드러내고, 사람들과 소통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기를 갈망했습니다. 
그러한 니즈에 맞춰 sns가 등장하였고, 우리는 그 속에서 시간과 장소도 상관없이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But why do we feel more and more lone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SNS, we have been exposed to each other much more often than before 
and have shared 24- hours of each other's life. 
But the weird thing is that at the same time, we’re feeling lonelier than ever before.
 
SNS의 발달을 통해 우리는 이전보다 훨씬 더 자주 서로에게 노출되고, 서로의 24시간을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동시에 우리가 이전보다 더 많이 외로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토록 바라던 것이 이루어졌는데 왜 우리는 더 고립된걸까요?
 
 
 
 
 
 
 
 
 
That's where Bara started.
바로 이 의문에서 BARA가 시작되었습니다.
 
 
 
 
 
 
 
 
 
 
bara tumbnail
The communication we wanted was emotional communication. That's why we're emotionally isolated in the middle of a flood of formal conversations and information. The emotionally connected conversation, making eye contact, checking each other's facial expressions, is what we really wanted.
 
우리는 정서적 커뮤니케이션을 바랬기 때문에 형식적인 대화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서적으로 고립되어 갔습니다. 눈을 마주보며, 서로의 표정을 확인하며 하는, 정서적으로 연결됨을 느낄 수 있는 대화가 우리가 정말로 바라던 것이였죠. 저는 그러한 오프라인 소통이 어색한 현대인의 소통을 도울 수 있는 기기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오프라인 소통이 어려운 현대인들에게 인위적으로 소통을 하게 유도하는 것은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었기에, 자연스럽게 소통을 하는 시간에 좀 더 집중해서 질 좋은 소통을 하게 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The easiest, most needed place
 
In a society where personal life has become accustomed, a home is losing its meaning as a family space. After you return home, it's more comfortable to relax in your own room than to talk about the day with your family. Even during family dinners, people are always with their cell phones. I saw this as the most interactive space, and at the same time, I thought it was the easiest place to start.
 
개인 생활이 익숙해진 사회에서, 집은 가족 공간으로써의 의미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집에 돌아온 후, 가족과 하루에 대해 얘기하는 것보다 각자의 방에 들어가 쉬는 게 편하죠. 심지어, 사람들은 가족끼리 밥을 먹는 시간에도 휴대폰과 늘 함께합니다. 저는 이런 집이 가장 소통이 필요한 공간이라고 보았고, 동시에 가장 소통이 시작되기 쉬운 곳이라고 생각했습니다.
 
 
 
 
Home is a place where individual and common spaces are together. Therefore, we had to induce communication without invading individual time and space. I focused on dinner time when all family members gathered. Bara is a device that helps family conversations during dinner, so users do not feel burdened with communication.
 
집은 개인의 공간과 공동 공간이 함께 있는 곳이기에 개인의 시간과 공간을 침범하지 않는 선에서 소통을 유도해야 했습니다. 저는 가족 구성원 모두가 모이는 저녁식사 시간에 집중하였습니다. Bara는 저녁식사 동안 가족 간 대화를 돕는 기기로써 유저들이 소통을 부담스럽게 느끼지 않도록 합니다.
 
 
 
 
 
 
 
 
 
 
 
 
Bara is a combination of "바라 (wish) " and "봐라 (look)." 
It means that the true communication we have hoped for can be achieved through eye-to-eye communication.
 
Bara는 “바라다“와 ”봐라“를 결합한 용어입니다. 
눈을 바라보며 하는 대화를 통해 우리가 바라던 진정한 소통이 이뤄질 수 있음을 뜻합니다. 
Bara는 그러한 제 바램에서 시작된 디자인이기도 하고요.
 
 
 
 
 
 
functions
01. Table lamp
 
Bara is a table lamp device that lights up when the whole family puts their phones on the sensors. 
By providing a change-making experience through the efforts of the whole family, users can develop a sense of community
and focus on offline communication. 
Also, since the light comes on only when the whole family participates, they try to gather and eat together rather than eat alone.
 
Bara는 테이블 램프기기로, 가족 모두가 센서 위에 휴대폰을 내려놓으면 휴대폰을 보느라 숙여져있던 Bara의 고개가 들리며 불이 들어오게 됩니다.
가족 모두의 노력을 통해 변화를 만들어내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저들은 공동체 감각을 키우고 오프라인 소통에 집중 할 수 있습니다. 
또 가족 모두 참여해야만 불이 들어오기 때문에, 혼자 식사하기 보단 다같이 모여 식사하도록 노력하게 됩니다. 
 
 
 
By repeating this process, users perceive the act of putting down their phones as a natural routine before eating.
이러한 경험이 반복되면  유저들은 휴대폰을 내려놓는 행위를 식사를 위한 당연한 루틴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02. Tray & Centerpiece
 
Bara also functions as a tray and a centerpiece. you can put various items on it's silicone mat, such as seasoning bottles, cups, and fruits. Also on special days such as holidays, decorate it as a centerpiece with various decorations! 
It will give you a happier dinner.
 
Bara는 테이블웨어로, tray와 센터피스의 기능도 가지도 있습니다. 실리콘 매트 위에 양념통, 컵, 과일 등 다양한 사물을 올려둘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여러대의 디바이스가 들어가야 함에 따라 생겼던 바라의 데드 스페이스를 해결하는 방법이기도 했습니다.
홀리데이 등 특별한 날에는 다양한 장식과 함께 센터피스로서 장식해보세요! 
여러분에게 한층 더 행복한 저녁식사를 선물할 것입니다.
 
 
 
 



03. Celebrate & remind your anniversity
 
Haven't you ever forgotten your family holiday because of your busy daily routine? Don't worry if you're with Bara! 
By setting up a family holiday through the Bara app, the day's lights will shine with custom colors for the event's protagonists.
 
바쁜 일상 탓에 가족 기념일을 까먹은 적 있지 않으신가요? Bara와 함께라면 걱정마세요! 
Bara앱을 통해 가족 기념일을 설정해둔다면, 그 날의 조명은 이벤트 주인공의 커스텀 컬러로 빛나게 됩니다. 
 
 
 
 
 
 
 
 
 
 
 
 
 
 
 
 
Design details
It was designed in a soft form to suit the table and hidden mechanical parts.
 Considering that they sit face to face at the table, the entrance to the cell phone was also crossed.
 
식탁에 어울리게 만들기 위해 부드러운 형태로 디자인하고 기계적인 부분들은 숨겼습니다. 
식탁에서는 마주보고 앉는다는 점을 생각해, 휴대폰을 넣는 입구도 교차되도록 했습니다.
 
 
 
 
There is a replaceable silicone mat on the top. It is easy to clean even if you spill the seasoning or get dirty.
 
상단에는 교체 가능한 실리콘 매트가 있습니다. 양념을 흘리거나 더러워져도 쉽게 세척 가능합니다.
 
 
 
 
It is charged through a C-tybe charger.
C-tybe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여 사용합니다. 
 
 
 
 
 





Goal
The starting point for acheiving what we had longed for
 
 








Thank you





디자인: Yeonwoo kim

@kyw_hidlife





Bara
Published:

Bara

Published:

Creative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