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njung Ido Kim's profile

Hatred Society in Korea

Hatred Society in Korea
2022
Book
176 pages
190x255mm
This book is written in Korean and English.
<Hatred Society in Korea>는 책과 영상 두 종류의 매체로 구성된 작업이다. 이 작업은 내가 독일에서 머무는 5년 동안 한국 사회를 바라보며 느낀 감정과 “무엇이 한국 사회를 이렇게 만들었을까?” 라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독일에 머물며 바라본 한국 사회는 혐오로 가득 찬 사회처럼 보였고, 이러한 사회적 현상이 어디에서부터 비롯되었는지, 현재의 한국 사회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 지에 대해 조사했다. 그렇게 한국의 근현대사, 한국인의 정체성, 고도성장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그로 인한 사회적 문제, 그 문제들이 만들어 낸 현 한국 사회의 문제점과 혐오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Hatred Society in Korea> consists of books and videos. It started with my feelings while looking at Korean society during my five years in Germany and the question, "What made Korean society this way?". Korean society, which I observed while in Germany, seemed filled with hatred. I investigated the roots of this social phenomenon and current issues in Korea. Thus, I explained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e identity of Koreans,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rapid growth, the social problems resulting from them, and the problems and hatred of the current Korean society.
나는 2018년 부터 독일에 거주하며 한국과의 연결고리를 놓지 않기 위해 한국의 트렌드, 사회변화, 정치 경제적 흐름 등을 뉴스와 인터넷을 통해 지속해 나아갔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한국 사회에 속해 있을 때는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갈등 없는 나라는 없다지만, 현재의 한국 사회는 심각할 만큼 그 정도가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었다. 2023년 현재 한국과 떨어져 있는, 5년이 넘는 시간 동안 각종 미디어를 접하며 내가 가장 크게 느낀 건 ‘혐오가 대한민국을 삼키고 있다’는 것이었다. 혐오범죄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난민과 동성애 반대 시위, 이성 대립 시위, 정치는 편 가르기를 함으로써 서로를 힐난하며, 노인과 청년들은 홀로 죽음을 맞이하고, 남녀노소 스스로 목숨을 져버리고, 결혼과 출산은 이미 다른 세상 이야기가 되었다. 무엇이 한국을 이렇게 만들었을까? 

During my time living in Germany, I made sure to stay connected with Korean trends, social changes, and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s through news sources. This was important to me as I didn't want to lose touch with my connection to Korea.
But at some point, I started to see things I couldn't see when I belonged to Korean society. People who are frantic about criticizing each other. As of 2023, I have been away from Korea for more than five years, and I recognized the biggest thing by interacting with various media is that 'hatred is swallowing Korea'. There is no country without conflict, but I figured that the current Korea is seriously excessive. 
Hate crimes frequently occur and anti-homosexuality protests, anti-sex protests are demonstrated, and politics slander each other as if to kill other sides, 20s to 30s of young people die alone, both young and old commit suicide, no longer marry and have no children. What made Korean society like this? 
Before explaining the work, I tried to briefly explain Korea's economic development, problems and hatred caused by it. This intro video is inspired by a Korean artist called YOUNG-HAE CHANG HEAVY INDUSTRIESand they are also artists who speak out about social issues. 
그렇게 나는 꽤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생각을 했고, 나아가 무엇이 대한민국 사회를 이렇게 만들었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겨났다. 이후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가기 앞서 마지막으로 든 의문은 "내가 독일에서 느끼는 한국 사회에 대한 염려는 과연 진실일까? 이 현상은 혹시 인터넷 커뮤니티에만 국한된 것이고 어쩌면 현실에서는 느낄 수 없는 것 아닐까?" 라는 헛된 희망과 함께 프로젝트를 위해 2022년과 2023년 각 한 달 동안 한국을 방문하게 됐고, 그 짧은 시간 동안 내가 느낀 염려는 거짓이 아녔다는 걸 체감하게 됐다. 한국에 도착해 인천공항에 들어서자 마자 본 건 “출입국심사 중 폭언, 폭행 금지” 라는 안내문이었고, 안내문을 본 순간 ‘아 내가 한국에 와버렸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이런 문구를 독일 어디에서도 마주한 적이 없었다. 그 외에 버스를 타거나 가게를 들어가도 동일한 문구가 쓰여있었고, 여기서 나는 ‘아 내가 느낀 것들이 결코 거짓이 아녔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이후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갔다.

That's how I thought a lot for quite a long time, and I wondered what made Korean society like this. After that, I had one last question before starting full-scale research that is "Is the concern about Korean society that I feel in Germany really true?" I came to visit Korea for a month each in 2022 and 2023 for a project with vain hope and I realized that the feelings I felt were correct. As soon as I arrived at the Korean airport, what I saw was a sign saying “Verbal or physical abuse may be punished under the law”. When I arrived at the airport, I didn't have any awareness, but as soon as reading this notice I realized that 'Oh, I'm here in Korea'. In addition, the same notice was written on the bus and in the store. At this point, I felt like ‘Ah, the things I felt were true’, and started a full-scale of research.
나는 이 광범위한 사회 문제에는 분명한 사회 구조적 원인이 있을 거라 생각했고, 그렇게 원점으로 돌아가 한국의 근현대부터 현재까지의 역사적 흐름을 우선적으로 조사했다. 이 과정을 통해 나는 한국이 고도성장을 이룩하며 놓쳤던 것들과 그로 인해 발생한 문제점, 고도성장을 이뤄낼 수 있었던 한국인의 정체성, 한국사회의 현 문제점 등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한국은 지난 70년 간 압축고도성장을 이룩한 몇 안되는 나라이다. 1945년 일제강점기로부터 해방되었지만 얼마 안 가 1953년,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말 그대로 폐허가 됐고, 그런 상황에서도 국민들은 힘을 합쳐 고도성장을 이뤄냈고, 이 성장을 만들어낸 건 당시 사회적 분위기와 더불어 한국인 고유의 정체성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챕터에서는 한국의 근현대사를 짧게 설명하고,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해 설명했다.
 
This is the first chapter. I decided that there would be a clear social structural cause for this broad social problem. In this way, I went back to the starting point and first investigated the flow of history from modern times to recent times in Korea. Through this process, I was able to grasp the things Korea missed while achieving rapid growth, the problems that arose as a result, the identity of Koreans who were able to achieve rapid growth, and current problems in Korean society. Korean society has indeed made remarkable progress over the past 70 years. In 1945, the 35-year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was over, and the joy of liberation was short-lived. From 1950 to 1953, the Korean War broke out due to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country was literally in a state of ruin. Even in such a situation, the Korean people gathered their strength and achieved high growth, and I thought that the reason for this growth was the social atmosphere at the time and the unique identity of Koreans. In this chapter,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was briefly explained, and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was explained.
이런 한국인 특유의 정체성과 당시 사회 분위기가 맞물려 긍정적인 측면으로 발현되어 단기간에 초고도성장을 이뤄냈고, 그 결과 현재 한국은 세계 GDP 순위 10위와 더불어 K-POP 등 한국의 문화를 성장 시키게 되었다. 이 챕터에서는 한국이 경제적으로 단기간에 얼마나 성장했는지에 대한 지표와 한국인이 이뤄낼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This unique identity of Koreans and the social atmosphere at the time were expressed positively, resulting in super-high growth in a short period. Currently, Korea is ranked 10th in world GDP and has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Korean culture such as K-POP. This chapter explained the indicators of how much Korea has grown economically in a short period and why Koreans were able to achieve it.
‘나일강의 기적’에 빗대 소위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한국의 고도성장. 한강의 기적은 긍정적인 면에 비해 부정적인 면이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고, 고도성장의 빛나는 결과물들은 부정적인 부분을 무시해도 될 정도로 막강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나는 한국 사회 문제점의 상당수가 극도로 빠른 경제 발전의 부작용에서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 생각한다. 즉, 한국을 살렸다고 하는 한강의 기적이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파멸에 이르게 한 것이 아닐까 하는 것이다. 이 페이지에서는 고도성장이 낳은 결과에 대해 설명했다.

Korea's rapid growth is called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compared to the 'Miracle on the Nile'. Unfortunately, the majority of people still tend to focus on the positive effects of rapid growth. This is because the negative aspects of Miracle on the Han River are relatively unknown compared to the positive aspects, and the result of rapid growth has brought about such a strong positive effect that the negative parts are ignored. But I don't think it would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many of the problems in Korean society have come from the side effects of this extremely rapid economic development. Namely,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which is said to have saved Korea, may have rather led to Korea's destruction in the long term. On this page, the results of high growth are explained.
이어서 한국인의 정체성과 고도성장이 낳은 결과가 합쳐져 만든 현 한국사회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을 이어갔다. 

This was the result of the high growth I think, and then I explain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society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Korean identity and the result of the high growth. 
이 모든 면이 종합 되어 현재 한국 사회의 자살율과 고독사에 대해 설명했다. 이렇듯 현재 한국 사회의 문제는 국가적 재난 수준이다. 문제는 더 이상 개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 차원에서 신속히 사회문제에 대해 파악하고 대처해야 하는데, 국가를 운영하는 정치인들은 서로 진영싸움을 하느라 여념이 없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해 외면하고 있다. 외면되어 온 문제들이 심화되어 현재 한국 사회는 어떤 혐오를 가지게 되었는지, 이제 본격적으로 혐오사회 챕터로 들어간다. 

This is the current problem in Korean society, and all of these aspects have been put together to explain the current Korean society's suicide rate and death by loneliness. The current problem in Korean society is at the level of a national disaster. The problem is no longer individual, but social problems have to be quickly identified and dealt with at the national level. But the politicians who run the country are busy fighting each other. Aside from that politicians are taking the lead in taking sides, inciting the people and inciting riots. Then, we will go into the hate society chapter in earnest to see how the problem has deepened and what kind of hatred has developed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혐오’ 란 어떠한 것을 증오, 불결함 등의 이유로 싫어하거나 기피하는 감정으로 불쾌, 기피, 싫어함 등의 감정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강한 감정을 의미한다. 현재 한국사회엔 수많은 혐오가 범람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화두가 되는 이성, 약자, 정치 파트로 나누어 간략히 설명한다.
  
"Disgust" is an emotion that dislikes or shuns something for reasons such as hatred or uncleanness which means a relatively strong emotion consisting of complex emotions such as displeasure, avoidance, and dislike. Currently, there is a lot of hate in Korean society. Among them, gender, the weak, and politics, which are the most talked about, will be briefly explained. 
현재 한국에서 가장 화두되고 있는 문제는 단연 젠더갈등 이다. 실제로 남녀 갈등 비율은 80%를 넘나들며 이는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추세다. 2022년 대한민국 젠더 의식 조사에 따르면 전체응답자의 66.6% 가 한국 사회 남녀갈등이 심각하다고 응답했으며, 외신들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일” 이라며 보도했다. 이 챕터에서는 남녀갈등의 시발점이 된 사건과 한국 남녀갈등의 사회구조적 원인에 대해 설명했다. 

Gender conflict is by far the hottest issue in Korea right now. In fact, the ratio of conflict between men and women is over 80%, and it is a trend that is getting worse. In this chapter, the events that triggered gender conflict and the social structural causes of gender conflict in Korea were explained. 
이러한 남녀갈등을 원인으로, 불행히도 한국사회는 더 이상 여성을 약자로 인식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과연 여성은 한국사회에서 신체적 약자가 아닐 수 있을까? 이에 관련한 내용과 함께 이 챕터에서는 한국사회가 약자를 혐오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혐오사회가 만들어지는 동안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해 줄 정치인들은 과연 어떤 행동을 취했을까? 

Unfortunately, due to this gender conflict, Korean society no longer recognizes women as the weak. If so, can women not be physically weak? Along with this, this chapter explained how Korean society hates the weak. Then, what actions did politicians who would represent the voices of the people take while this hateful society was being created?
아이러니하게도 정치인들이 앞다투어 혐오를 조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국민의 목소리를 들어주고, 대변하고, 나아가 국민을 통합하는 것이 정치인의 역할인데도 그들이 국민을 위해 대변하는 건 오직 하나, 혐오 뿐이다. 이 챕터에서는 정치인들이 앞다투어 갈등을 조장하는 내용과 역대 최악의 대선선거였던 2022년 대선선거에 대해 설명했다.
 
Ironically, politicians are scrambling to promote hatred. Although it is the role of politicians to listen to the voices of the people, represent them, and move on to unite the people, they only represent one thing for the people: hate. This page explains how politicians are scrambling to incite conflict and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which was the worst presidential election ever.
여기까지 혐오에 대한 이야기를 마치고, 혐오표현에 있어 항상 화두에 오르는 “혐오 표현은 과연 표현의 자유인가” 라는 논제에 대해 설명했다.

After finishing the story of hatred up to this point, I explained the topic of "Is hatred really freedom of expression?”
에필로그에서는 한국의 수많은 재난 중 가장 큰 사건이었던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건과 2022년 이태원 할로윈 압사 사고를 겪으며 참담할 정도로 무능한 정부의 대처로 인해 저신뢰 사회가 되어버린 한국에 대해 설명하고, 능력주의에 함몰된 한국사회의 문제점에 대해 말했다. 

In the epilogue, the biggest of many disasters in Korea, the Sewol ferry sinking in 2014 and the Itaewon Halloween stampede in 2022 explain Korea, which has become a low-trust society due to the disastrously incompetent government response and talked about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that have been immersed in.
위와 같은 내용을 정리하여 만든 <Hatred Society in Korea>. 빨간 표지는 독일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인 Carolin Emcke의 책 "Gegen den Hass"의 한국어 번역본 책에서 영감을 받았다. 빨간색은 보통 혐오, 분노를 떠올렸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색이기도 한다. 바인더를 넘기면 미러지로 만들어진 표지가 있는데, 이는 니체의 구절 중 "괴물과 싸우는 사람은 그 싸움 속에서 스스로도 괴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우리가 괴물의 심연을 오래 동안 들여다본다면, 그 심연 또한 우리를 들여다보게 될 것이다."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는 나 스스로에 대한 다짐이기도 한데, 이 작업을 진행하면서 나 역시 객관성을 잃을 수 있음을 인지했고, 편파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음을 경계했다. 또 내가 한국으로 돌아가더라도 한국 사회에 잠식 당해 괴물이 되지 않기 위해, 스스로 책을 읽기 전 내 자신을 들여다보고자 하는 다짐으로 미러지를 표지로 만들었다. 

The above information was summarized and a book called “Hatred Society in Korea” was published. The red cover here was inspired by the Korean translation of “Gegen den Hass” by Carolin Emcke, a German writer and journalist. It is usually the first color that comes to mind when thinking of hatred or anger. Turn over the binder, and there is a cover made of mirror paper, it was inspired by Nietzsche's quote, "He who does battle with monsters needs to watch out lest he in the process become a monster himself. And if you stare too long into the abyss, the abyss will stare right back at you". This is also a commitment to myself, but while working on this work, I also recognized that I could lose my objectivity, and I was wary of having biased thoughts. Also, even if I go back to Korea, in order not to be encroached upon by Korean society and become a monster, I put a mirror paper on the cover as a pledge to look into myself before reading the book myself. 
책은 총 176 페이지 이며,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주제를 흥미롭게 읽게 하기 위해 수많은 그래픽 작업과 챕터별로 세분화하여 피곤함을 환기시킬 수 있는 흐름을 만들었다. 내부에 들어가는 그래픽 작업은 모두 스스로 작업했으며, 사진 및 인용에 대해서는 레퍼런스 리스트에 기재했다.

The book has a total of 176 pages, and to make the potentially boring subject interesting to read, a lot of graphic work subdivided into chapters has been created to evoke fatigue. I did all the graphic work that went into the interior, and I listed the photos and citations in the reference list.
이 책은 나의 주관적인 의견이 포함되었으며, 그렇기에 편파적일 수 있고, 내가 생각하는 원인 외에 수많은 이해관계가 존재할 거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나는 그저 사회학자가 아닌 한 명의 한국인으로서 ‘왜 한국 사회가 혐오로 잠식됐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을 뿐이다. 더욱이 글을 쓰면서 들었던 생각은, 모든 일에는 인과관계가 있듯이 그저 혐오 또한 사회가 존재하기에 발생한,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결과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이 책을 쓰며 단 하나 바랐던 건, 그저 ‘나부터 혐오에 대해 인지하고,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내 안에서 발생하는 혐오를 멈추는 것’ 이다. 혐오를 멈추기 위해서는 분명 '나와 네가 다름을 인지하고 이해함' 으로 부터 그 시작이 될 수 있다. 혐오를 인지하고, 혐오 표현에 대항하기 위한 목소리를 낸다면 그 변화는 미미하겠지만 분명 세상은 더 나은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으리라 믿는다. 

As a Korean, not just a sociologist, I am willing to understand why Korean society was eroded by hatred. Moreover, as I was writing, I thought that just as there is a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n everything, hatred is also a natural result of the existence of society, in a way.
The only thing I wished for while writing this book was to 'recognize hate from myself, try to understand others, and stop the hatred that occurs within me'. So as to stop hatred, it can definitely start from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me and you'.
I believe that if people recognize hate and speak out against hate speech, the change will be minimal, but the world will surely flow in a better direction. 
Eine Verbesserung erfindet nur der, welcher zu fühlen weiß: „Dies ist nicht gut“.
​​​​​​​I hope you constantly feel uncomfortable and work hard to improve it.
Copyright 2023. Eunjung Kim. All rights reserved.
Hatred Society in Korea
Published:

Owner

Hatred Society in Korea

Published: